본문 바로가기
간편 생활 노하우

보건증 발급 방법 기간 준비물, 병원 보건소 온라인 발급 비용

by 힐링 힐러 2024. 3. 8.
반응형
SMALL
보건증 발급 방법 기간 준비물, 병원 보건소 온라인 발급 비용

 

 

안녕하세요^^ 알바하려니 보건증이 필요하다네요~

오늘은 보건증 발급 방법 알아볼게요.

보건증 발급 기간과 병원 보건소 온라인 발급 비용 차이도 알아봅니다.

Step별로 차근차근 쉽게 안내드릴테니

잘 따라오세요^^

 

 

보건증 발급 방법

 

STEP 1. 신체검사

알바하는 업체에서 보건증을 요구하게 되면 보건증을 발급받아야 하는데, 첫번째 단계는 간단한 신체검사를 받는 것입니다.

 

몇가지 검사를 받고 보건증이 발급되는데, 이때 발급 기관에 따라 보건소 or 병원이 구분됩니다.

그럼 발급기관별로 보건증 발급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보건소 발급

 

보건증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가까운 보건소에 방문하여 간단한 검사를 받은 후 발급받을 수 있으며, 검사 후 약 5일 정도 뒤에 보건증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1. 신분증을 지참하여 보건소에 방문하여, ‘건강진단결과서 발급신청서’를 작성합니다.
  2. 보건소마다, 시간마다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통상적으로 소요시간은 20분 정도입니다.
  3. 검사항목은 흉부 엑스레이 촬영을 통한 폐결핵 검사, 전염성 피부질환 유무 검사, 면봉을 통한 장티푸스 항문 검사를 받게 됩니다.
  4. 검사 후 결과서 발급까지는 약 5일 내외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5. 보건증 발급 비용은 지역별, 보건소별로 다를 수 있으나 대체로 3000원~3,500원의 비용이 듭니다.

 

병원 발급

 

병원 발급은 보건소보다 더 간편한 절차로 받을 수 있지만 비용이 더 든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는 비용이라고 생각하면 큰 손해도 아니니,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하세요^^

  1. 보건증 검사를 실시하는 병원을 찾아 방문하여 신체검사를 받습니다.
  2. 보건증 발급을 무료로 하는 병원도 있지만 그때는 진료비나 검사비는 별도일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3. 보건증 발급을 위한 신체검사 비용은 보건소보다 비싸고 병원마다 차이도 있습니다. 비용은 1만원~2만원대 비용이 듭니다.
  4. 보건증 검사를 하는 병원은 네이버 검색을 통해서 찾으면 쉽습니다.

STEP 2. 보건증 발급

 

보건증 발급 비용

 

첫 보건증 발급 비용은 신체 검사비가 포함되며 보건소 발급 비용은 3천원~3,500원 내외이고 병원 발급 비용은 병원마다 다르며 1만원~2만원으로 검사가 포함된 보건증 발급이 가능합니다.

보건증은 발급 후 1년의 유효기간이 주어지며, 한번 발급한 보건증은 1년동안 재발급해서 사용가능합니다.

 

보건증 발급 시 준비물

 

보건소나 병원에서 검사를 마친 후 5일~7일 후 검사를 한 곳을 찾아 보건증을 수령하면 됩니다.

보건증 수령 시 필요한 준비물은 신분증과 수수료입니다.

STEP 3. 보건증 재발급

한번 발급 받은 보건증은 1년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알바를 옮길 경우 새로운 알바업체에서 보건증을 요구할 때 보건증 재발급을 받으면 되는데, 이 때는 신체검사 없이 보건증만 재발급 하면 됩니다.

 

만일 검사를 한 곳이 병원이라면 해당 병원을 찾아 재발급을 요청하면 되고, 이때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며 재발급 수수료는 1천원~2천원 가량 듭니다.

보건소에 방문하여 재발급 받는 경우 300원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보건증 온라인 발급 방법

 

보건소에서 검사를 하고 보건증을 발급받은 경우, 온라인으로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1. 공공보건포털(www.e-health.go.kr) 에 접속합니다.
  2. 온라인 민원서비스 메뉴에서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을 클릭합니다.
  3. 동의 및 확인에 체크한 후 본인인증을 진행합니다.
  4. 보건증 검사지가 나오면 제출용, 열람용, 확인용 중 선택하여 PDF로 다운로드 받습니다.

온라인 재발급 비용은 무료이며, 정부24 홈페이지와 보건소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공인인증서 또는 본인 명의 휴대폰이 필요합니다.

보건증 유효기간(검사일로부터 1년)까지 조회 및 재발급이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종료되었을 경우 재발급은 불가하므로 다시 검사 받아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각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무인발급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신분증이 필요하지 않고 지문으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보건증 발급 검사 항목

 

추가 정보로 보건증 발급시 하게 되는 신체 검사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신체검사 전 8시간 전부터 금식해야 합니다.

흉부 X-ray 촬영

폐결핵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로 흉부 엑스레이 촬영을 합니다.

임상병리 검사

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등의 검사를 진행하며, 항문에 면봉을 넣어 채취합니다.

문진

전문의와의 상담으로간단히 진행되며, 양손을 앞뒤로 검사하여 전염성 피부 질환을 파악합니다.

오늘은 보건증 발급 방법을 순서대로 알려드렸습니다. 자신에게 가장 편리한 방법으로 발급받으시길 바랍니다^^

보건증은 자신의 재산이므로 알바하는 곳에 제출한 경우 돌려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반응형
LIST